성인이 되면서 상가집에 조문을 하러 종종 가게 됩니다. 그런데 처음 조문을 가서 조의금을 낼 때 봉투에 적힌 한자를 보고 당황한 적이 있으신가요? 전 처음 조문을 갈 때 축의 봉투와 조의 봉투의 한자가 꽤 헷갈렸던 경험이 있습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조의금 봉투 쓰는 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조의금 봉투 쓰는 법 : 봉투 한자 구분
미리 봉투를 준비하지 않았더라면 장례식장에 준비되어 있는 봉투를 쓰시면 됩니다. 그런데 혹시 회사에서 준비된 봉투를 사용하거나 흰 봉투에 한자를 직접 써야 하는 경우라면 조의와 관련된 한자를 필히 확인하셔야 합니다. 장례식장에서도 '축결혼' 과 같은 축의 봉투가 꽤 들어온다고 하네요.
부의 : ( 부의할 부 賻 , 모양 의 儀 ) 상가집에 부조로 보내는 돈 또는 물품을 뜻함 |
근조 : ( 삼갈 근 謹 , 조상할 조 弔 ) 사람의 죽음에 대하여 삼가 슬픈 마음을 뜻함 |
추모 : ( 따를추 追 , 사모할 모 慕 ) 돌아가신분을 그리며 사모함을 뜻함 |
추도 : ( 따를 추 追 , 슬퍼할 도 悼 ) 돌아가신분을 생각하며 슬퍼함을 뜻함 |
애도 : ( 슬플 애 哀 , 슬퍼할 도 悼 ) 사람의 죽음을 슬퍼한다는 뜻함 |
위령 : ( 위로할 위 慰 , 영묘할 령 靈 ) 돌아가신 분의 영혼을 위로한다는 뜻함 |
조의금 봉투 쓰는 법 : 이름과 소속 쓰기
조의금 봉투의 뒷면에는 이름과 소속을 기입합니다. 만약 소속이 따로 없다면 쓰지 않으셔도 되지만 동명이인이 있을 수 있으니 혹시 소속/회사에 속해 있다면 적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뒷면 이름과 소속을 쓸 때도 안면과 같이 글자는 세로로 적어 줍니다.
조의금은 얼마가 적당할까?
조의금에 대한 정확한 기준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조의금을 낼 때는 3만원, 5만원, 7만원과 같이 홀수 단위가 일반적인 관례라고 합니다. 단, 10만원은 짝수이지만, 3과 7이라는 홀수가 만난 길한 숫자로 여기기 때문에 예외로 괜찮다고 합니다.
조문 순서
1)
먼저 입구에서 가급적 모자나 외투를 탈의합니다. 장례식장의 구조에 따라 먼저 방명록을 작성하고 조의금을 낸 후 모자나 외투를 탈의하고 들어가는 경우도 있으나, 가급적이면 의복을 먼저 정리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2)
다음으로는 방명록을 작성하고 준비한 조의금을 냅니다.
3)
그 후 빈소로 들어가 조문을 하게 되는데요. 빈소에 들어가서는 먼저 상주와 가볍게 고개를 숙여 인사를 한 뒤 분향 혹은 헌화를 합니다. 참고로 분향을 할 때는 오른손으로 향을 잡고 왼속으로 가볍게 오른손 손목을 잡습니다. 그리고 촛불로 불을 붙인 다음 손가락으로 눌러 꺼주거나 왼손으로 가볍게 흔들어 끕니다. 절대로 입으로 불어 끄면 안됩니다.
헌화를 할 때는 오른손으로 꽃줄기를 잡고 왼손 손바닥으로 오른손을 받쳐 꽃봉우리가 영정 쪽을 향하도록 놓습니다.
분향이나 헌화를 하셨다면 한 두 걸음 물러나서 영정앞에서 절을 두번 한 후 가볍게 고개 숙여 인사를 합니다.
마지막으로 절을 다 마쳤다면, 상주와 맞절을 하거나 고개 숙여 인사를 합니다. 위로의 말을 하신다면 간단하고 짧게 하시고 물러 나시면 되며, 물러 나실때는 뒤로 두 세 걸음 물러난 뒤 돌아 빈소를 나오시면 됩니다.
이상으로 조의금 봉투 쓰는법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어떠셨나요? 제가 작성한 포스팅이 여러분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끝까지 읽어주신 분들 감사합니다.
함께 보면 도움 되는 글
서울시 교육청 구인구직 알고 100% 활용하기
본 포스팅에서는 서울시 교육청 사이트의 구인구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해당 사이트를 이용하시면 서울 소재 교육기관의 일자리를 찾을 수 있는 것은 물론이며, 구직 메뉴에 등록하여 좋은
1.jaune.co.kr
탄소중립실천포인트 신청하기ㅣ지구도 지키고 7만원 환급
이번 겨울은 유난히 날씨가 추운날이 많습니다. 이 매서운 한파도 지구 온난화 때문이라고 하는데요. 실생활에서 지구도 보호하고 인센티브도 받을 수 있는 좋은 제도가 있어 소개드리려고 합
1.jaune.co.kr